1. 미국시장 현황 (나스닥)
나스닥은 주봉차트에서 40 주선을 이탈해서 50 주선까지 위협하고 있는 중임. 일봉을 봐도 대폭 하락, 하락분의 절반을 메꾸지 못하고 계속 하락하고 있음. 금요일 양봉 나왔으나, 캐나다와의 무역 분쟁 분위기, 비트코인 가격 하락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바로 반등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다음 주 일정은 CPI 발표가 있음. 최근 PCE가 예상치 부합하게 나왔으나 관세에 따른 영향을 받았다고 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경계 분위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물가상승 + 경기침체 = 스태그...
현재 시점에서 관세는 결국 인플레이션 유발에 대한 우려를 전제한 악재이기 때문에, 지금 물가지수가 부정적으로 나온다면 파급효과가 조금... 크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방망이를 짧게 잡고, 현금보유비중을 높여서 대응해야 할 것 같다.
(시황맨 증시전망대)
최근 5일간 장중 증시는 상승전환 하지만 종가에 계속 빠지고 있음 (뉴스 등에 취약함),
계절적 특징으로는 2월 하락, 3월 초반 까지 하락, 3월 2주 차가 저점인 통계도 있음
M7의 주가는 트럼프 당선 이전으로 돌아갔고, 경기 부양책을 진행 중인 중국과 독일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관세의 피로감과 친 암호화폐 정책에 불구 암호화폐 가격이 반등하지 않는 점으로 봤을 때 기대감만으로 큰 폭 상승을 보여주던 시점과는 차이가 있음.
2. 한국시장 현황 (코스피/코스닥)
3월 초까지만 해도 미국장 하락에 비해 강한 모습을 보여주던 코스피, 코스닥이었지만 연속된 하락에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 내렸다. 그래도 코스피는 상승 추세선 저점을 깨지는 않았지만, 코스닥은 깨고 내려온 상황이고 이전 가격 저항 732 근방에서 버티고 있다. 나스닥과 함께 반등해 주면 저점이고, 그렇지 않으면 추세 이탈이 될 것 같다. 코스닥 추세보다는 코스피 추세를 기준으로 생각해 봐야겠다.
다음주 변수 : 정치변수 + 미국 - 캐나다 관세전쟁 격화 + 추가적인 관세 정책 (對 한국) + LNG 개발 + 종전
3. 주간 상승률 상위 (일 거래대금 500억 이상)
종목명 | 상승률 | 최대대금 | 테마명 |
동양철관 | 51.28% | 2,134억 | 알래스카 LNG |
하이스틸 | 47.04% | 1,644억 | 알래스카 LNG + 철강 |
HJ중공업 (단기과열) | 44.26% | 2,513억 | 조선 |
넥스틸 (단기과열) | 42.86% | 4,605억 | 알래스카 LNG + 철강 |
화성밸브 | 39.88% | 1,461억 | 알래스카 LNG |
아이씨티케이 | 38.53% | 2,740억 | 양자컴퓨터(개별) |
보로노이 | 33.21% | 824억 | 바이오(개별) |
포스코스틸리온 | 27.99% | 1,655억 | 알래스카 LNG + 철강 |
휴스틸 (단기과열) | 26.66% | 3,084억 | 알래스카 LNG + 철강 |
한국항공우주 | 22.43% | 4,514억 | 방산 |
파이버프로 | 25.83% | 817억 | 방산+광반도체 |
한일단조 | 25.00% | 871억 | 방산 |
롯데케미칼 | 24.84% | 756억 | 화학 |
스튜디오미르 | 27.44% | 1,190억 | 미디어 + 한한령해제 |
한화시스템 | 19.55% | 10,600억 | 방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23.06% | 8,479억 | 방산 |
클로봇 | 22.87% | 5,091억 | 로봇(레인보우 MOU) |
에어레인 | 21.90% | 689억 | 조선기자재 |
M83 | 19.90% | 1,813억 | 미디어 + 한한령해제 |
이외 거래대금이 크게 터진 종목들은 POSCO홀딩스, 포스코DX 등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