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설연휴와 Deepseek가 미국장을 강타한 뒤 열린 첫 거래일에 네이버와 카카오가 거래대금을 모으며 상승하였습니다. 연휴기간 동안 미국장 움직임을 보며, 이스트소프트나 솔트룩스 같은 국산 AI S/W 종목이 연휴 끝나고 주목받을 것이라는 예상은 하였으나 네이버와 카카오에 매수세가 집중되는 모습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연말 좋은 구간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관심종목에 넣어뒀으나 재료 위주의 매매를 하다 보니 좋은 자리에 왔는데도 매수하지 못했습니다. Deepseek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관련주 매매에 기준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소형주 매매를 할 때도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 흐름이 매수의 근거가 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오늘 로봇주도 상승이 나왔는데, Deepseek 수혜섹터임은 맞지만, 현대차의 휴머노이드 제조라인 투입계획이나 삼성전자 컨콜에 따른 상승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하고 AI와 Deepseek 재료에 직접노출된 종목만 정리합니다.
<Deepseek 등장 후 미국 반응>
① 처음 Deepseek의 혁신이 주목받자 엔비디아와 전력관련 종목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더 이상 고사양 GPU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센터와 전력수요는 감소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내러티브로 인한 하락이었습니다.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56928
중국 AI ‘딥시크’ 쇼크…엔비디아 800조 증발
등장으로 AI 업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10분의 1도 안되는 투자비용으로, 뒤지지 않는 성능의 AI 딥시크를
www.ichannela.com
② 이튿날 트럼프 대통령과 Open AI의 샘 올트만, 엔비디아는 Deepseek의 혁신에 긍정적인 발언을 하며 그래도 지금까지 미국장을 이끌어온 네러티브가 훼손되지 않을 것이다라는 믿음을 전하며 전일 폭락분의 일부를 만회하였습니다.
https://zdnet.co.kr/view/?no=20250128135857
세계 놀래킨 中 딥시크 'R1'...샘 알트먼 "가성비 인상적 신선해"
샘 알트먼 오픈AI 대표가 전세계 AI 시장을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거대언어모델(LLM) 'R1' 모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더 나은 모델을 선보일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알트먼 대표는
zdnet.co.kr
③ 이후에는 Deepseek는 Open AI의 Chat GPT를 이용한 모방품에 불과하다거나, GPU의 출처를 조사하기 시작하는 등 대대적인 공세에 들어갔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에 취약한 중국산이라는 점도 언론을 통해 각인하려는 양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048434?rc=N&ntype=RANKING&sid=101
내 채팅 기록 다 털렸나…"딥시크 이용 정보 100만건 유출 정황"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가 인터넷에 노출돼 이용자의 채팅 기록 등 개인정보 관련 데이터 100만건 이상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31일 IT 업계와 외신에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048324?sid=101
"AI 전용칩 어디서 났어?" 美 FBI, 딥시크 수사 착수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대중 수출이 금지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전용칩을 중국의 딥시크가 어떻게 확보했는지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A
n.news.naver.c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3115550003152?did=NA
딥시크 때리고 내부 결속하는 미국... "오픈AI, 57조 원 투자 유치 추진" | 한국일보
미국 중심 인공지능(AI) 산업 판도를 뒤흔든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를 향해 미국 정부와 산업계가 연일 총공세를 퍼붓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
www.hankookilbo.com
2. Deepseek 및 AI S/W 관련주
종목명 | 등락률(%) | 거래대금 | 테마구분 |
엠케이전자 | 29.97 | 54억 | Deepseek(중국관련) |
GRT | 29.92 | 125억 | Deepseek(중국관련) |
피델릭스 | 29.96 | 144억 | Deepseek(중국관련) |
플리토 | 29.91 | 265억 | AI S/W |
라온테크 | 29.90 | 239억 | Deepseek(중국관련) |
코난테크놀로지 | 24.45 | 285억 | AI S/W |
인스웨이브시스템즈 | 22.68 | 401억 | AI S/W |
싸이버원 | 19.03 | 173억 | AI S/W(보안) |
솔트룩스 | 18.16 | 775억 | AI S/W |
바이브컴퍼니 | 16.54 | 40억 | AI S/W |
샌즈랩 | 14.44 | 732억 | AI S/W(보안) |
마음AI | 13.15 | 545억 | AI S/W |
오브젠 | 13.11 | 15억 | AI S/W |
모니터랩 | 12.07 | 351억 | AI S/W(보안) |
이스트소프트 | 11.24 | 747억 | AI S/W |
폴라리스오피스 | 9.09 | 306억 | AI S/W |
카카오 | 7.27 | 2,594억 | AI S/W |
한싹 | 7.18 | 196억 | AI S/W(보안) |
안랩 | 6.73 | 223억 | AI S/W(보안) |
칩스앤미디어 | 6.28 | 1,063억 | Deepseek(중국관련) |
NAVER | 6.13 | 4,223억 | AI S/W |
오늘 AI 관련주는 크게 네 가지로 움직였습니다.
① 네이버, 카카오
② 기존 AI S/W 관련주 (플리토, 코난케트놀로지,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솔트룩스 外)
③ 중국 매출이 발생하거나 기대되는 중국관련 기업 (엠케이전자, GRT, 피델릭스 外)
④ AI 보안관련 종목(싸이버원, 샌즈랩 外)
① 네이버 카카오는 오늘 수급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최근 국장을 이끌고 있는 기관이 두 종목 비슷한 규모로 매수하였습니다. 기존 주도주인 조선, 반도체, 전력섹터에서 이쪽으로 자금이동이 생기지 않을지 계속 지켜보며 매매 예정입니다.
https://www.4th.kr/news/articleView.html?idxno=2078174
[특징주] 우리도 딥시크 처럼?..네이버·카카오 6~7%대 급등 - 포쓰저널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중국 오픈소스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챗GPT와 맞먹는 성능을 보이면서 국내 AI 소프트웨어 대표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가 급등했다.31일
www.4th.kr
만약 Deepseek의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이 실현가능한 것이라면 주요국 중 가장 엔비디아의 H100을 적게 확보하고 있는 우리나라... 그 중 대표기업인 네이버, 카카오가 글로벌 기업을 상대로 한 추격이 용이해 질 것이라는 논리로 기관, 외인 수급이 몰리는 것 같습니다.
② 에 해당하는 종목은 3가지 테마군 중에서는 제일 마음 편하게 매매할 수 있는 섹터로 보입니다. 당분간 흐름이 지속된다면 미국 AI관련주인 팔란티어 테크(PLTR), 세일즈포스(CRM), 오라클(ORCL) 등의 움직임을 따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Deepseek 등장 전 가장 큰 재료는 트럼프의 스타케이트였기 때문입니다. 또 개인투자자들에게 익숙한 종목 군이기 때문에 거래대금을 동반해서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③ 에 해당하는 기업은 Deepseek에 대한 시장평가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이 미국 테크의 중국 테크 때리기가 지속된다면 관련 이슈가 지속적으로 주목받으면서 현란한 무빙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윙트레이더로서 최대한 낮은 가격에 매수기회가 오면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④ 에 해당하는 종목은 파생된 테마 성격으로 보여서 당일 매매에 적합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아래 뉴스로 움직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쓰지도 않은 Deepseek의 보안 이슈라니요...일단 Deepseek 파워로 밀어 올렸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54558?sid=104
“악성 소프트웨어 퍼질 수도” 美 하원, 딥시크 사용 금지
미국 하원이 악성 소프트웨어 감염 등의 위험을 들어 중국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미국 정치 매체 폴리티코는 30일(현지시간) 미 하원 최고행정책임자가 최근 의회
n.news.naver.com
주말 간 미국과 중국의 AI 패권다툼의 진행양상을 지켜보며 매매를 준비해 보겠습니다.